조정석의 일품연기 감성 스릴러

시간이탈자영화가 박스 오피스 1위를 달리고 있다.너무나 좋아하는 배우들이 나오지만 시간을 다루는 소재는 모 아니면 도라는 생각이 커서 그런지 기대를 크게 하진 않았다.<시간이탈자>는 '모'에 가깝다. 기대이상의 즐거움을 안겨준 작품이다.과거와 현재의 연결이 꽤 촘촘하고, 사건이 진행되는 내내 긴장을 놓을 수 없었다.네이버 검색을 통해 이 영화를 만든 곽재용 감독에 대해 찾아보니 경력이 어마어마하신 분이다.엽기적인 그녀, 클래식 등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한 작품을 연출하고 각색한 경력이 있다.멜로의 거장답게 시간이탈자도 '사건'보다는 '멜로'의 정서에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영화를 보며 느낀 따뜻한 감정이 이런 부분에서 나오지 않았나 싶다. 사실 얼마전 종영한 드라마 <시그널>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무전을 통해 연결한 바 있다. 이 영화가 그와 비슷한 소재라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인터뷰를 보고나니 차이점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꿈을 통해 연결되는<시간이탈자>의 두 남자 주인공은 주 목적이 '사랑'이다. 사랑을 지키기 위해 활약한다. 사건 해결을 주 목적으로 하여 주인공들이 활약했던 <시그널>과는 다른 점이 있다.그러다보니 영화를 보고 나와서 마음 한 편에 애틋함과 따뜻함이 느껴졌던 것 같다.

 

▲ 스포츠 서울 ss 무비 칼럼

영화는 1983년과 2015년 두 개의 시간을 보여준다.1983년의 지환(조정석)과 윤정(임수정), 2015년의 건우(이진욱)과 소은(임수정)는 평행이론처럼 비슷한 일을 겪는다.지환이 윤정의 지갑을 훔쳐간 강도를 쫓다가 칼에 찔리는 순간, 경찰인 건우 역시 소매치기를 쫓다가 총에 맞는다. 두 사람은 수술대에 오르고 간신히 목숨을 건사한다. 그런데 그 후, 서로의 모습이 꿈속에서 보이기 시작한다.건우는 꿈 속에서 본 1983년의 윤정과 꼭 닮은 여자를 2015년에 보게 된다. 그런데 윤정이 아니란다. 자신을 소은이라고 한다.윤정과 소은은 얼굴이 똑같다. 직업도 똑같다. 일하는 학교도 알고보니 똑같다.건우는 1983년도에 윤정이 살인범에게 죽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2015년을 살아가는 건우의 일거수일투족을 꿈으로 꾸던 지환은 자신이 사랑하는 윤정이 죽게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죽음을 막고자 한다.과거가 바뀌면 미래가 변할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한 1983년의 지환과 2015년의건우의 사투가 시작된다

 

▲ 네이버 영화

원래 한국 영화를 볼 때는 스토리보다 배우들에 더 몰입하곤 했는데 내 기준에서<시간이탈자>는 스토리와 연출이 너무 매력적이었다.결론도 꽤나 마음에 든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결론이 기다리고 있다.놀랄 만한 반전보다 오히려 괜찮은 기승전결이었다고 본다.<시간이탈자>는 영화의 로그라인도 새로운 시도였거니와 괜찮은 결과물을 완성했다는 점,스릴있고, 애틋하고, 재미있어서 다양한 느낌을 충족시켜준다는 점에서 관객 입장으로 꽤 만족스러운 영화였다.

 

느낀점은 이영화를 볼 때 처음 봤을때는 엄청 재미가 없을 것 같았다. 그래서 추천받은 영화지만 보지않을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조정석의 연기가 아주 재미있었다. 그래서 조정석이라는 배우에게 매력을 느꼇다. 그리고 훌륭한 배우라고 생각이 들었다. 이영화는 내용이 드라마와 비슷하다. 그래서 오히려 그 드라마를 본사람은 드라마 내용만 이야기 한다 하지만 나는드라마를 보지 않아서 오히려 더 재미있는 영화였다. 살인사건이 일어나는데 그사건을 미리 예측하는 두 주인공들.아주 멋있었다. 그래서 너무 멋있어서 다음에 또 영화를 보고 싶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