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istock
출처:istock

인간은 돈, 명예, 권력, 인정, 사랑 등 다양한 목적을 향해 분주한 삶을 살아가는데, 이들은 개인마다의 욕구와 가치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를 위한 노력은 때로 쉽지 않으며, 각자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다양성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삶의 의미를 '로버트 라이트'의 [넌제로]라는 책에서 제시한다. 이 책은 인류 역사에 숨겨진 논리를 통해 모든 게임 참가자가 승자가 될 수 있는 '포지티브 섬'을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인류가 미래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전한다.

포털 뉴스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산물로 , 1980년 CNN의 출현을 발판으로 하여 뉴스가 일상생활에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한국의 포털 뉴스는 독특한 산물로 한국의 권력구조, 집단 문화, 언론문화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주로 집단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포털 뉴스는 주류에 편승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한다. 한국의 포털은 많은 언론사들이 뉴스를 저렴하거나 공짜로 제공하며, 이로 인해 뉴스 사용료를 지불하는 문화가 부족하다.

 

출처:istock
출처:istock

한국의 포털 뉴스는 일종의 게임으로 작용하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뉴스 콘텐츠에 투자하는 비용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저널리즘의 후퇴, 포털의 권력화, 시장 왜곡, 뉴스 품질 악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차별을 제거하고 더 많은 사람이 게임이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야 한다. 포털 뉴스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포털이 자율 규제를 강화하고, 외부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좋은 뉴스를 확보하고 이를 적절히 유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널리즘의 복원을 주도하고 뉴스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며, 뉴스 사용료를 받는 언론사들은 이를 투자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이루어질 때 포지티브 섬이 가능해지며, 포털 뉴스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의 포털 뉴스는 공동체 차원에서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법률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지원과 뉴스 소비자들의 책임이 필요하다. 아무리 괜찮은 뉴스를 만들어도 찾는 자가 없으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의 편의를 위하여 길가에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면, 누군가나 그 쓰레기를 치워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처럼 규제의 빌미를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 

포털 뉴스의 중요성과 약진은 한국 사회의 권력 구조와 언론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기에 가장 기억에 많이 남는 부분이었다. 저널리즘의 복원 방법을 주제로 토론을 해보면 의미가 있는 이야기가 오고 갈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를 통해 언론 환경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