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2023년 8월 9일에 개봉한 영화로 웹툰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완벽하게 원작을 기반으로 한 영화는 아니며 새롭게 각색하여 다른 내용으로 흘러간다. 특히 원작 웹툰의 주인공은 학생이었지만 영화 속에서는 신혼부부로 바뀐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접하게 된 것은 아무래도 영화 요약을 하는 영상 덕분이었다. 알고리즘으로 인해 뜬 영상들 중 가장 눈에 띄었다. 특히 유토피아라는 제목이 인상 깊었다. 그도 그럴 것이 유토피아는 이상향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거기에 콘크리트라는 단어가 합쳐져 이제 어떤 내용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냈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내용으로는 엄청난 대규모의 지진이 서울을 강타한다. 대부분의 건물이 무너진 와중, 유일하게 남은 황궁 아파트는 남은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한다. 그러나 아파트에 몰려든 외부인 탓에 입주가 다치는 상황이 발생하고, 외부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지에 대해 회의를 하게 된다. 대표자를 정하고 찬반 투표를 통해 외부인을 퇴출하기로 정한다. 남은 아파트 입주자들끼리 주민 수칙을 정해 가장 완벽하고 안전한 아파트를 만들어간다. 유토피아일 것만 같았던 아파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 갈등에 의해 무너지기 시작한다.

 

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위기와 재난 상황에서의 다양한 인간 군상을 보여주는 영화였다고 생각한다. 외부인을 퇴출하자는 사람이 많긴 했지만, 그 안에서도 제 소신을 지키는 사람들이 있었다. 규칙을 어겨서라도 위험한 사람들을 구하는 사람이 있었다. 누가 맞다고는 아무도 이야기할 수 없지만 위기 상황에서도 타인과 함께 살아가려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어쩌면 황궁 아파트의 첫 선택은 이기적인 선택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연 이 상황이 실제로 다가왔을 때 나라고 그들처럼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품게 하였다. 내가 만일 입주민이었다면 한정적인 식량과 물품들 속에서 그들과 물건을 나눌 수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쉽사리 대답이 나오지 않았다. 실제 영화에서 남주 주인공 또한 고민을 하다가 결국 이기적인 선택을 몇 번 하게 된다.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보니, 주인공에게 공감하며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래도 황궁 아파트가 무너짐으로써 이기심은 무너졌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황 궁 아파트 사람들은 자신들이 살기 위해서 이기심으로 뭉쳐있는 결과라고 보였다. 그렇기에 이기심은 언젠가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들게 했다.

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화였다. 인간의 이기심에 대한 잔인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처럼 영화의 대부분에 걸쳐 사람들은 싸우고 갈등하며 와해된다. 하지만 그렇기에 오히려 마지막에 희망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이기심으로 뭉쳐진 아파트는 인간들에 의해 무너졌지만, 한 명, 한 명 힘을 모아 새롭게 살고 있는 인간 무리는 서로가 도와가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인간 군상을 지니고 있는 만큼 여러 사람들의 상황이 되었을 때를 생각하면서 볼 수 있는 좋은 영화였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