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출처 - 네이버 영화
출처 - 네이버 영화

이 영화는 2023년 8월에 엄태화 감독이 연출하였으며,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등이 주연으로 호흡을 맞춘 영화이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출처 - 네이버 영화

이 영화의 줄거리는  온 세상을 집어삼킨 대지진, 그리고 하루아침에 폐허가 된 서울. 모든 것이 무너졌지만 오직 황궁 아파트만은 그대로다. 소문을 들은 외부 생존자들이 황궁 아파트로 몰려들자 위협을 느끼기 시작하는 입주민들. 생존을 위해 하나가 된 그들은 새로운 주민 대표 ‘영탁’을 중심으로 “아파트는 주민의 것”이라는 말을 전제로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막아선 채 아파트 주민만을 위한 살아남은 자들은 따르거나 떠나거나​​​라는 새로운 규칙을 만든다. 덕분에 지옥 같은 바깥세상과 달리 주민들에겐 더없이 안전하고 평화로운 유토피아 황궁 아파트. 규칙을 만들어 생활하며 끝이 없는 생존의 위기 속 그들 사이에서도 예상치 못한 갈등이 시작된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출처 - 네이버 영화

 이 영화를 처음 봤을 때 아주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재난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의 각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보면 자기 자신을 위하여 어떠한 일이든 하는 것이 인간이 극한의 상황에 달하면 비윤리적인 일여도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마땅히 행한다는 것을 잘 표현하고 잘 꾸며냈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출처 - 네이버 영화

 만약 나라면 저런 상황에 놓였을 때 비윤리적인 행동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행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영화에서도 무조건 비윤리적인 행동에 동참만 하는 인물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 행동들이 비윤리 적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계속해서 반발하지만 다수의 의견에 묵살당하는 인물들도 존재한다. 그 인물 중 김도윤 배우가 연기한 도균 역은 황궁 아파트 사람들이 아닌 외부 사람들을 자신의 집에서 몰래 숨겨주다가 그것이 들통나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잘못된 것을 인지하면서도 살아남기 위하여 그 의견에 무조건 적으로 동의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박서준 배우가 연기한 민성 역은 자신이 하는 행동들이 모두 비윤리적인 일임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살아남기 위하여 동의하고 행동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식량을 구하러 갔을 때 마트 발견하고 마트의 주인과 싸우는 도중 주인을 살해하게 되며 결국 마트에 들어가 식재료를 얻는 장면을 보면서 알 수 있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출처 - 네이버 영화

이 영화를 보며 미적 감각에서도 잘 표현했다고 느껴지는 것들이 있다. 엄태화 감독은 영화의 전반적인 색채를 전반부는 파란색과 회색의 어두운 톤으로, 점점 후반부로 갈수록 빨간색 톤으로 바뀐다. 이 변화는 영화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날씨가 풀리고 있다는' 것을 언급한다. 실제로 영하의 날씨라서 입김이 나오는 전반과 달리 후반부에는 아파트로 물줄기가 생기는 등 기온이 올랐음을 알려주는 장면들이 있다. 이 장면은 날씨가 영상의 날씨로 돌아왔음을 은연중 드러내는 장면이다. 아파트 외부로 나간 사람들 중 초반에 쫓겨난 사람들은 멀리 못 가 동사한 반면, 후반부에 나가는 인물들은 더 멀리까지 가서 정착하는 것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