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수신합니다

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친구가 다른 시대에 사는 사람과 통화를 한다는 말을 듣는다면 믿을까?  내가 소개할 영화인 <동감>은 2000년에 개봉한 배우 김하늘, 유지태 님이 주연을 맡은 <동감>을 리메이크하였다.  1999년, '용'은 첫눈에 반하게 된 '한솔'을 사로잡기 위해 친구에게 HAM 무전기를 빌린다.  2022년, ‘무늬’는 인터뷰 과제를 위해 오래된 HAM 무전기를 작동시킨다.  개기 월식이 일어난 날, 시간을 뛰어넘어 연결된 ‘용’과 ‘무늬’는 서로의 사랑과 우정에 대해 이야기하며 특별한 감정을 쌓아간다...

원작에서는 남자 주인공인 '용'의 역할을 여자 배우인 김하늘 님으로 여자 주인공인 '무늬'의 역할은 남자 배우인 유지태 님이 맡았다.  나는 원작이 존재하는지 몰랐다.  그래서인지 원작을 보았던 사람들이 남긴 후기들과는 다른 온도의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선호하지 않는 내가 재미있게 본 영화라고 생각이 들었다.  영화 상영 중 복선 여러 개가 깔리고 그 복선이 맞춰지는 부분을 볼 때 느껴지는 놀라움과 짜릿함 때문인듯하다.  나는 해당 장면이 복선을 암시하는 줄 몰랐기 때문에 영화를 다 보고 나서도 그 여운이 가시질 않았다.  한 장면에서 그런 감정을 느끼고 다음 펼쳐지는 장면에서는 또 어떤 복선이 있는지 유추하는 과정 또한 흥미진진했다.  이 영화에 등장하신 여진구(김용 역), 조이 현(김무늬 역), 김혜윤(서한솔 역), 나인우(오영지 역), 배인혁(김은성 역) 님들 모두 현재 연예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시는 분들이라 반가웠고 영화의 흥행과 화제성에 기여한 것 같다.  그리고 이 영화가 1999년과 2022년을 배경으로 서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층에서 공감 그리고 동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반면, 아쉬웠던 부분도 존재했다. '용'이 살고 있는 시대 배경은 1999년인데 그 시대 장면 연출을 조금 더 세심하고 디테일하게 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평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인데 "대사도 예상한 것보다 더 손발이 오그라드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의도한 연출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2022년 배경을 촬영할 때는 촬영 카메라 필터가 조금 더 푸른 색감을 띄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했다.  화면에서의 청량함과 풋풋함이 조금 아쉬웠기 때문이다. 

 

네이버 영화
네이버 영화

다음으로 장르는 멜로이고 청춘 로맨스물임과 동시에 등장인물들의 성장기도 볼 수 있는 것 같아서 풋풋하면서 아련함이 느껴진다.  영화 보는 것을 선호하지 않지만 볼 때 로맨스, 멜로 장르를 보는데 해당 영화에서도 많은 설렘을 느꼈다.  시간을 뛰어넘어 무전기 소통으로 서로에게 동감을 느낀다는 것.  시대는 다르지만 우리는 삶 속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 어느 한 지점에서 '동감'을 느낄 수 있다.  나는 이 영화를 '첫사랑', '청춘', '대학 캠퍼스'라는 세 단어로 소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동감> 원작을 보지 않은 사람들과 로맨스, 멜로 장르 영화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한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