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C 치킨 광고의 PLC 이론, SMCRE 전략 분석

▲ ⓒ출처: KFC
▲ ⓒ출처: KFC

이전 기사에서 ‘핫 앤 스파이시 프라이드치킨’을 홍보 한 KFC 광고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이번 기사에서는 ‘핫 앤 스파이시 프라이드치킨’ 광고를 SMCRE 전략과 PLC 이론을 통해 이 광고를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 ⓒ출처: KFC
▲ ⓒ출처: KFC

먼저 SMCRE 전략을 통한 광고 분석이다. 제일 먼저 sender, 송신자에서 이 광고는 화염, 폭발 이미지로 형상화된 치킨 조각을 모델로 선정하였다. 이는 뜨겁고 매운맛의 신 메뉴의 특성을 화염으로 비유하여 잘 표현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메시지다. 메시지에서 이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이 제품은 타제품과는 달리 화끈하고 매운맛을 가지고 있으니, 매운맛을 즐기는 사람, 독특한 메뉴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어서 주문해 보세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제품의 차별화된 특징을 강조하는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채널, 매체이다. 이 광고의 매체는 옥외와 잡지이다. 위의 배경 사진이 바로 그것이다. 첫 번째 사진은 건물 외벽에 광고가 부착된 옥외 광고이며, 두 번째 사진은 잡지 표지에 광고가 부착된 잡지 광고이다. 이렇듯 이 광고는 다양한 매체로 소비자에게 최대한 노출하여 주목을 이끄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음은 리시버, 타깃이다. 이 광고의 주요 타깃은 매운맛을 선호하는 사람과 독특함에 흥미를 느끼고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다. 매운맛을 선호하는 소비자 뿐만 아니라 매운맛을 선호하지 않더라도 개성 있는 제품에 흥미를 느끼는 소비자라면 충분히 이 기발한 광고에 의해 신제품을 주문할 의향이 있을 것이다. 다음은 이펙트, 효과이다. 이 광고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이 광고에 흥미를 느낀 소비자는 신제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고 유쾌하고 개성적인 광고에 매력을 느낀 소비자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져 브랜드 이미지의 제고에도 큰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다음은 PLC를 통해 왜 이러한 광고가 나오게 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자. 이 광고의 제작자인 KFC는 1952년에 설립이 되어 올해를 기준으로 68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아주 오래된 기업이다. 즉, 오랜 시간이 흘러 사회적 가치 변화, 소비자 욕구의 변화 등,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하는 단계에 접어드는 제품 생애 주기인 쇠퇴기에 접어든 것이다. 기업이 쇠퇴기에 접어들었기에 기존의 제품을 고집하는 것은 기업의 철수를 부르게 된다. 그러므로 KFC는 기존과 다른 개성적인 신제품 출시와 기발한 광고 제작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계속해서 사로잡는 전략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전략으로 탄생한 것이 바로 ‘핫 앤 스파이시 프라이드치킨’ 광고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