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노숙자보다 가출청소년들이 더 많아졌다고 한다.

왜일까.

어떤 문제가 있어서 가출을 하게 되었는지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이유는 다양했다.

재혼 후 엄마의 폭행, 부모의 지나친 기대에서 비롯된 스트레스, 부모의 무관심 등으로 많은 이유들로 아이들은 집을 나왔다. 집에 가고 싶어 하는 아이들이 있었지만 부모가 집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돌아가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 조선일보

이로 인해 가출한 10대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그룹, '가출팸'이라는 단어가 생겼다고 한다.

가출팸에는 제일 강한 아이의 주도 하에 다른 아이들은 돈을 벌어오고 번 돈은 강한 아이에게 준다. 앞으로의 계획을 물어보자 가출팸 가족들을 먹여 살리는 게 항상 고민이라고 대답을 할 정도로 소속감을 얻고자 했다.

 

과연 '가정환경으로부터의 문제일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렇게 나는 비행 아동 · 청소년 그리고 학교 사회복지와 아동을 조사하면서 아동복지에 대해 쉽게 생각하지 않았는지 반성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비행 아동 문제는 가정 환경이 불우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아동 센터의 거의 모든 아동이 맞벌이 부부나 편부, 편모 가정이어서 학교가 끝나고 집이 비어있는 가정이었다. 아동복지의 대상자가 되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학습과 심리적 안정에 있어서 안정적인 가정의 아이들과 다른 발달을 보인다고 한다.

학교에 가도 선생님의 무관심이 싫었다는 학생, 학교에서 무슨 일만 생기면 의심받는 학생, 공부하려고 하니 수업 방해하지 말라고 엎드려 자라는 말들을 듣고, 선생님 관심을 받으려고 공부를 열심히 했더니 커닝한 거 아니냐고 의심을 받는 일들이 많다고 한다.

이 아이들이 사회에 적응하고, 낮은 자존감을 회복하는 일이 아동복지사들의 노력에 달려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아동복지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다. 다른 어떠한 직업에도 소명의식은 필요하지만 특히 아동복지사에게는 아동의 현재와 과거를 이끌어 준다는 의식이 확고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