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의 '심판론'에 대한 언론의 영향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년 4월 13일 총선의 날이 지나갔다. 4월 13일이 되기까지 수많은 미디어가 총선에 집중했다. 이미 총선의 결과는 나왔고, 16년 만에 여소야대 시대가 열렸다. 19대 총선보다 투표율이 약 4퍼센트 가량 높아졌고, 20~30대 투표율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투표율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 전부터 축적됐던 경제, 정치 문제 등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어쩌면 이것은 정치적 무관심, 정치적 혐오감, 정치적 패배주의를 끌어낼 수도 있다. 그런데도 투표율을 높일 수 있었던 계기를 언론의 영향력과 연관 지어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총선이 있기 한 달 전으로 돌아가 보자.

 총선이 있기 한 달 전, 수많은 아젠다가 있었다. '최저임금인상', '소녀상', '위안부', '개성공단 폐쇄', '대통령 선거 개입' 등 많은 아젠다들이 있었다. 하지만 주요 언론들이 주목했던 것은 총선이라는 아젠다였다. ‘진박’, ‘친박’, ‘비박’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기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공천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왔다. 그러는 과정 중에 새누리당의 김무성 대표가 당 직인과 당 대표 직인을 가지고 가는 일이 발생했고, 보수언론이든 진보언론이든 이걸 옥새 파동, 옥새 투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1주일 내내 보도했다. 덕분에 공천과 총선에 대한 아젠다에 관심이 많이 몰렸다. 이 외에 많은 사람들이 이번 ‘총선’ 아젠다에 큰 관심을 가진 이유는 ‘심판론’ 때문이었으리라 생각한다. 현 대통령이 전부터 심판론을 꺼내기 시작하더니, 언론은 총선을 '심판론'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심판론에 대한 뉴스가 얼마나 많았는지 시청자들에게 이런 효과가 나타났다.

ⓒ (주)리서치뷰(RDD휴대전화 정례조사 결과)

 또한 뉴스에서도 항상 새누리당은 '제1야당 심판론', 더불어민주당은 '잃어버린 8년, 경제 실패', '여당 심판론', 국민의당은 '기존 양당제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고 전했다. 이때 대다수의 정당이 저마다 심판론을 들고나오기에 어떤 공약인지 궁금하여 심판론에 대한 뉴스들을 찾아보았다.

 

 동영상을 찾아보자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정말 심판론을 내세운 당은 더불어민주당 외에는 없었는데, 왜 모든 정당이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고 생각했는가. 어떻게 발로 뛰는 국회, 일하는 국회가 제1야당 심판론이 될 수 있는지, 기존 양당제에 대한 불만과 대책을 설명한 것이 기존 양당 심판론이 될 수 있는지 의아했다. 물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야당을 발목잡는 정당이라고 꾸준히 주장했지만, 이것이 야당 심판론이 될 수는 없다. 국민의당 또한 거대 양당의 지지부진한 실적을 탓했지만, 기존 두 양당 체제를 심판하자는 말은 언론에서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언론에서는 정당들이 '심판론'을 들고나와 선거유세를 펼치고 있다고 끊임없이 말했다. 심지어 수구 언론들은 4월 13일이 되기 바로 전날, 총선을 ‘바로 내일, 심판의 날’이라는 뉴스 제목으로 보도했다. 덕분이었을까. 투표율 상승이라는 효과가 잘 나타났다. 끊임없이 심판론을 내세운 언론들은 국민에게 심판할 수 있는 권리를 꾸준히 상기시켜주었고, 국민에게 빠른 결정을 내리도록, 누군가를 선택해야 하는 것을 계속 우선순위로 만들었다. 물론 ‘심판’이라는 프레임 외에 국민에게 많은 요소가 작용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되지만, ‘심판’이 국민의 평가의 권리를 잘 나타내는 단어였음은 확실했고, 민심을 잘 일으키는 말이었음에, 언론이 ‘심판’이라는 단어를 선택한 것에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반대로 새누리당 직인을 ‘옥새’라고 표현했던 것처럼 언론이 높일만한 존재가 아님에도 누군가를 높여주는 느낌의 단어를 사용한다면, 또 특별하지 않은 것을 특별한 존재처럼 만드는 프레임을 설정하여 끊임없이 보도한다면, 그것의 결과 또한 두렵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