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더듬어야 나라는 걸 알죠

출처: 네이버 영화

 

 

1939년 2차 세계대전 시기 영국의 국왕 조지 6세, 버티는 치명적인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다. 그 콤플렉스는 바로 말더듬이였다. 마이크 앞에만 서면 말을 더듬는 버티의 와이프가 새로운 언어 치료사를 소개해 준다. 언어 치료사 ‘라이오넬 로그’는 지금까지의 치료사들과는 달리 버티를 수많은 환자 중 한 명으로 생각하고 치료하였다.

 

 

출처: 네이버 영화
출처: 네이버 영화

 

로그의 치료법 덕분에 말더듬이 점차 나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마냥 순조롭지 만은 않았다. 버티의 개인사와 얽혀져있는 증상 때문에 버티와 로그는 친구처럼 싸움과 화해를 반복하게 된다. 

 

 

출처: 네이버 영화
출처: 네이버 영화

 

이후 버티와 로그는 결국 말더듬이 증상을 함께 극복해 내고, 버티는 연설을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영화 ‘킹스 스피치’는 영국 왕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왕과 치료사, 환자와 치료사를 넘어 친구가 되어버린 버티와 로그인데, 영화를 볼 때 둘의 관계성을 파악하면서 보면 더욱더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친구처럼 다투지만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은 둘은 왕과 치료사라는 것이다. 현실에서 있기 힘든 요소를 내용으로 했다고 볼 수 있는데 지어낸 것이 아닌 실화였다는 점이 주목할 점이다. 그리고 영화의 분위기 또는 구도를 보면서 내가 주인공이라고 대입을 시켜서 보면 몰입에 도움을 줄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의 구도 때문에 버티의 입장을 실감하게 된 부분이 많다. 

 

또한 의지와는 상관없이 왕의 자리를 맡게 된 버티가 어떻게 보면 불쌍한 존재이다. 말을 더듬는 것도 모자라 전쟁 중인 이 시기에 본인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많을 생각이 들었음을 알 수 있다. 로그와 버티는 정반대의 인간이었다. 자유분방한 성격의 로그에게서 버티에게 변화가 생기고, 로그로부터 왕 자리의 무게를 이겨낸 버티의 모습이 꽤나 감동적이다.

 

 

출처: 네이버 영화
출처: 네이버 영화

 

말더듬이 왕이어도 연설을 무사히 해냈을 때 드는 시민으로서의 안도감과 든든함을 느낄 수 있고, 그런 왕에 대한 뿌듯함, 또는 버티와 로그의 성공한 인간관계에서의 뿌듯함도 느낄 수 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 아픈 부분이나 숨기고 싶은 부분을 극복해나가고 그렇게 얻은 이 사람의 진심을 공유할 수 있고, 그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성공한 인간관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영화의 후반부, 로그와 버티가 말다툼을 하게 되는데 그 장면에서 버티가 “말을 할 줄 아는 왕이니까”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 그 장면에서 버티가 했던 그 어떤 대사 중에서도 진심이고, 꽉 막힌 부분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느낌을 들게 해준다.

 

 

이 영화를 보면 왕도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 하지만 왕은 왕의 역할을 해내야 한다는 것을 왕관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왕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는 책임을 지고, 부담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음이 성장해가는 기회를 얻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