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광촌에 핀 다이아몬드 빌리

사람들은 간절히 바라고 원하면 보이지 않는 힘으로 꿈을 이루거나 역경을 이겨나갈 수 있다. 빌리는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과 고난을 이겨내고 그토록 원하던 자신의 꿈에 가까이 다가간다. 빌리가 아닌 다른 사람이었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었을까? 

ⓒ네이버영화

 

단순히 영국 탄광촌 출신의 소년이 발레리노로 성장하여 꿈을 이룬 영화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영화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이겨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까지 표현한다. 1984년 영국 북부에 있는 탄광촌인 더럼을 배경으로 탄광 노동자들이 정부와 대립하여 파업을 벌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버스 안에서 빌리가 아버지에게 런던에 왜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냐는 질문을 던지자 아버지는 런던엔 광산이 없다는 대답을 한다. 이 장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당시 영국 사회는 상당히 보수적이었고, 빌리의 아버지와 큰아들처럼 자식이 부모의 직업을 물려받는 것이 당연했기에 빌리의 아버지도 자신이 광부가 되는 것 외에는 관심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빌리가 발레에 재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해 준 윌킨슨 선생님은 자가용을 끌고 다니며 집에 정원이 있는 중산층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광부들을 욕하는 장면을 통해 정부를 대변한다. 탄광 노동자들과 대립하는 모습을 통해 그동안 영국의 노동 계급이 일방적인 의사소통과 경영적 통제 방식의 조직 아래에서 겪어야 했던 차별과 고통, 두 계층 간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이버영화

 

이처럼 하나의 문화는 인간 삶의 양식 전반을 말하고, 이러한 인간 삶의 양식 전반에 미치는 미디어의 이데올로기적 역할과 기능, 책임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을 문화연구라고 한다. 문화 연구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단어 자체가 의미인 것이 아닌 커뮤니케이션과 문화를 통해서 의미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미디어는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미디어를 이용해 발레는 여자들이나 하는 것이라는 사회적 문화를 주입한 것이다. 이때 미디어를 수용하는 수용자의 반응은 지배적 코드 수용, 지배적 코드 협상, 지배적 코드 거부 유형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세 가지 유형 중 지배적 코드를 거부한 유형으로 빌리를 말할 수 있다. 

빌리는 미디어에 강요되어 왔던 남성성을 나타내는 권투가 아닌 여성들의 활동으로 상징되는 발레를 배움으로써 지배적인 코드를 거부하고 전형적인 성 역할을 탈피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빌리는 발레라는 춤을 통해 성 고정관념 및 사회 갈등 구조인 계층적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을 잘 나타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영화

 

영화에는 파란색이 자주 등장한다. 빌리는 파란색과 대비되는 붉은 벽에서 파란 문을 박차고 나온 이후, 청바지를 입고 열정적으로 춤을 추며 무엇인가 떨쳐버리는 듯한 행동을 취한다. 남성성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남을 파란색이라는 상징적인 기호와 색채 대비를 통해 표현하는 것 같았다. 초코파이를 떠올리면 정이 생각나는 것처럼 기호학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단어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보다 숨겨져 있는 심층적인 의미를 찾아내도록 하여 빌리의 심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영화를 처음 봤을 때는 빌리가 포기하지 않고 꿈을 이루기 위해 성장하는 과정과 꿈을 이룬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영화를 여러 번 보고 나니,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아버지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탄광 노동자 동료들과 함께 확고한 신념으로, 누구보다 앞장서 파업을 진행했던 아버지가 빌리의 꿈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꺾고 배신자 소리를 들으며 다시 탄광에 출근하던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았고, 탄광촌으로 향하던 빌리 아버지의 마음이 얼마나 무너졌을지 상상조차 가지 않았다. 

 

ⓒ네이버영화

 

빌리가 꿈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에는 빌리의 노력도 있지만, 그 뒤에는 보이지 않는 빌리 아버지의 고민과 희생, 빌리를 끝까지 믿어주는 가족의 사랑이 있었기 때문에 빌리가 더욱 훌륭한 발레리노로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빌리의 용기 있는 마음과 빌리를 생각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맞물려 마침내 빌리는 빛을 발했고, 빌리 아버지는 석탄을 캐는 것이 아닌, 빌리라는 다이아몬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영화를 통해 불행과 가난 속에서도 가능성은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고,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가족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어 감동적이었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