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천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시선)

천상병, 그는 누구인가?

▲ [출처= 천상병 시인,http://blog.naver.com/samho_farm]

  일본 효고현(兵庫縣) 히메지시(嬉路市) 출생 하였다. 1955년 서울대학교 상과대 4년 중퇴하였으며 1949년 마산중학 5학년 때, 《죽순(竹筍)》 11집에 시 《공상(空想)》 외 1편을 추천받았다. 1952년 《문예(文藝)》에 《강물》, 《갈매기》 등을 추천받은 후 여러 문예지에 시와 평론 등을 발표했다.

  1967년 7월 동베를린공작단사건에 연루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가난·무직·방탕·주벽 등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그는 우주의 근원, 죽음과 피안, 인생의 비통한 현실 등을 간결하게 압축한 시를 썼다. 1971년 가을 문우들이 주선해서 내준 제1시집 《새》는 그가 소식도 없이 서울시립정신병원에 수용되었을 때, 그의 생사를 몰라 유고시집으로 발간되었다.

  ‘문단의 마지막 순수시인’ 또는 ‘문단의 마지막 기인(奇人)’으로 불리던 그는 지병인 간경변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주막에서>, <귀천(歸天)>, <요놈 요놈 요 이쁜 놈> 등의 시집과 산문집 <괜찮다 다 괜찮다>, 그림 동화집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 등이 있다. 미망인 목순옥(睦順玉)이 1993년 8월 <날개 없는 새 짝이 되어> 라는 글 모음집을 펴내면서 유고시집 <나 하늘로 돌아가네>를 함께 펴냈다.

충격적이었던 동백림 사건

▲ [출처=천상병 시인과 목순옥 여사, 연합뉴스]

  중앙정보부는 1967년 7월 8일부터 17일까지 7차에 걸쳐 ‘동백림(당시 동독의 수도인 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북괴 대남 적화 공작단’에 대한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정보부는 “문화예술계의 윤이상·이응로, 학계의 황성모·임석진 등 194명이 대남 적화공작을 벌이다 적발되었다”고 발표했다. 중앙정보부의 발표에 따르면 사건 관계자들은 1958년 9월부터 동백림 소재 북한대사관을 왕래하면서 이적(利敵)활동을 한 데 이어 일부는 입북 또는 노동당에 입당하고 국내에 잠입하여 간첩활동을 해왔다는 것이다. 또한 중앙정보부는 서울대학교 문리대의 민족주의비교연구회도 여기에 관련된 반국가단체라고 발표했다.

  이후 사법부는 동백림 및 민족주의비교연구회 사건을 별도 심리하기로 결정하고 1969년 3월까지 동백림사건 관련 재판을 완료하여 사형 2명을 포함한 실형 15명, 집행유예 15명, 선고유예 1명, 형 면제 3명을 선고했다.

  중앙정보부의 발표와 달리 동백림사건 관련자 중 실제로 한국에 돌아와서 간첩행위를 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보복이 두려워서 또는 단순한 호기심에 북한에 잘 도착했다는 신호를 보낸 정도였다. 중앙정보부는 대규모 간첩단이라고 하여 무려 203명의 관련자들을 조사했지만, 실제 검찰에 송치한 사람 중 검찰이 간첩죄나 간첩미수죄를 적용한 것은 23명에 불과하였다. 더구나 실제 최종심에서 간첩죄가 인정된 사람은 1명도 없었다.

  이러한 재판 결과는 동백림사건 수사가 강제연행과 고문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유학생과 교민들의 강제연행은 외교적 마찰을 불러 일으켰다. 서독과 프랑스 정부는 영토주권의 침해라고 강력히 항의하고 원상회복을 요구했다. 박정희 정부는 1970년 광복절을 기해 서독 및 프랑스의 의견을 수용하여 사건 관계자에 대한 잔여 형기 집행을 면제, 정규명·정하룡 등 사형수까지 모두 석방했다.

 

죽음의 문턱을 지나 그가 지필 한 ‘귀천’

(한줄평: 나는 그의 바보 같은 웃음이 좋다.)

  억울한 옥살이와 전기고문을 받았으며 망신창이 행려병자로 취급 받는 그, 과연 정말 이 세상이 아름다웠을까? 라는 질문을 문단의 시작을 알린다.

  귀천은 인상도 천상병의 부인 목순옥 여사가 운영하는 찻집의 이름이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귀천’이 단지 찻집의 의미만 같고 있을까?

  그는 생활비는 아내에게 부담하며, 막걸리를 먹기 위해 친구 강인구에게 돈을 띁어 내기도 하였다. 가난에 찌든 그이지만 그는 가난에 대한 불평불만이 아닌 가난조차 시인의 내면에 넉넉한 낙관주의를 심어주는 요소라고 인식하였다. 그를 보며 참 ‘ 인생 참 맛깔나게 사시네.’라고 그에게 꼭 말해주고 싶다.

<귀천> - 천상병 -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

 

  그러면 이제 부터는 귀천에 대해 하나 하나 씩 파헤쳐 보자.

  하늘은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것 같다. 시민의 평탄치 않은 삶이 투영 된 슬픔이 느껴진다. 시인의 삶이 고통스럽지만 그는‘삶과 죽음을 달관한 자세’로 바라보았으며 ‘죽음에 대한 초월적인 태도’를 신앙으로 받아드렸다.

  이슬과 노을빛은 이 시에서 운명은 찰나 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각기 영롱한 구슬처럼, 아름다운 불빛은 온 세상을 물들이지만 금방 사라지고 만다. 찰나적인 아름다움을 우리의 인생살이로 표현한 듯하다. 그가 귀의했던 신앙 덕택에 고통스러웠던 세상이 한 때 지나가는 아름다움으로 인식하는 것 같다. 이 와 대립적으로 구름과 새벽빛은 죽음을 뜻 한다.

  집에서 소풍지로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순환 형식, 하룻 동안의 나들이로 표현했다. 시적화가는 자신의 존재 근거를 하늘에 투영하고 있다.

  ‘-리라’란 어미에서 ‘예정’을 말하는 것 같다. 어짜피 하늘로 돌아가야 하니 힘들고 지치는 우리의 인생살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지나가는 아름다운 소풍으로 인식하는 것이 세상 살기에 편하다는 것을 나에게 전하는 것 같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