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도서

한국의 對 미국 통일 공공외교 실태는  통일연구원이라는 곳에서 발행한 책이고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범위, 연구 방법 및 구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 목적에서는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하기 위해서 미국 공공외교의 목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통일 공공외교를 추진해야 하고 미국의 對 한반도 공공외교의 정책 우선순위와 한국의 통일 관련 공공외교가 서로 조응되도록 공공외교를 추진해야 하고 통일 과정에서는 물론 통일 후 한미 동맹관계에 대한 굳건한 믿음의 확보 그리고 북핵 문제 및 북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으로서의 통일을 추진하고 인적 자산의 중요성, 국제사회의 연계성 그리고 통일 시점에 대한 전망과 공공외교의 효과에 대한 고려를 말하고 있다. 

이 책에서 통일 관련 공공외교의 내용은 북핵 문제, 북한 인권 문제, 6.25전쟁 사망자 및 실종자 유해 송환 문제 등 광의의 한반도 통일 관련 주요 사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시간적 범위로는 역대 한국 정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일외교 또는 공공외교의 관점에서는 통일 관련 외교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것은 냉전 시대 종식 이후의 시기이며,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외교에 대한 이론 검토를 배경으로 공공외교의 실제 경험 사례를 분석하는 문헌 연구와 경험 연구를 병행, 현장 사례 및 조사를 통한 실증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공동연구이며 전임 연구자와 학계의 관련 전문가가 한 팀을 이루어 연구를 수행하는 협업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먼저 제1절에서 한국의 對 미국 한반도 통일 관련 공공외교의 기본 입장과 정책을 검토하고 제2장 2절에서는 그동안 한국이 미국에 대해 추진해온 공공외교 실태를 살펴보고 對 미국 공공외교 실태는 미국 국민의 對 한반도 통일  관련 공공외교의 인식, 한국의 對 미국 통일 관련 공공외교의 추진실태로 나누어 분석할 것이다. 특히, 공공외교를 구체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일반 공공외교의 주요 영역을 준용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제2장 3절에서는 미국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와 국내의 미국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을 수행한 인식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마지막 제3장에서는 실태 분석과 전문가 인식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對 미국 한반도 통일 관련 공공외교를 평가하고, 對 미국 한반도 통일 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bbc

 

한국의 통일 정책 중 ‘통일외교’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건 1973년 ‘6.23 평화통일외교  선언’이다. 한반도의 통일은 평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북한과는 선의의 외교적 경쟁을 하고 우리와 적대적 관계에 있지 않은 사회주의 국가들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 위한 외교를 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한반도 통일은 남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주변국들과의 이해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의 발로였다.

남북은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산출한 비밀접촉을 시작한 이래 2012년 말까지 정상회담, 총리급 회담, 장관급 회담 등 각급 수준의 대화와 접촉을 총 606회 열었다. 총리급 회담을 통해 남북 관계의 장전인 남북기본 합의서를 채택하며 1992년 2월에 발효였습니다.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서 6.15공동 선언과 10.4 선언을 채택했다. 1988년 7.7선언 이후에는 1989년 처음 시작된 인적, 물적 교류는 많은 우려곡절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40여 년이 지난 지금 남북한의 분단구조는 여전하고, 갈등과 대립의 근본 성격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분단국으로 독립한 독일과 예멘, 베트남은 이미 통일을 이룬지 오래되었다. 2015년이면 독일은 통일 25주년을 맞고, 중국과 대만 사이도 영토적 통일은 이루지 못했지만 ‘사실상의 통일’에 접근할 수 있을 만큼 활발한 교류·협력이 일상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