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논제로는 양쪽 모두가 승자가 되는 포지티브 섬을 주장한다. 한국만이 가진 포털 뉴스에 대한 신뢰와 영향력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사례다. 한국의 집단 문화, 권력구조 및 언론환경으로 한국의 포털 뉴스는 발전했다. 또 한국 사회의 집중된 권력구조와 일방향적인 작동 방식도 포털에 집중되는 이유다. 뉴스를 소비하는 목적은 주변 환경 변화 이해와 대응책 마련이다. 집중된 권력구조에서 뉴스는 감시할 대상과 영역이 제한되며 다양성은 중요하지 않게 된다. 국내 언론의 뉴스는 대부분 큰 차별성이 없고, 뉴스 사용료를 지불한다는 개념이 낯설다. 포털 뉴스에 직접 등장하거나 검색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경우 위기에 처하는 언론사도 상당하다. 포털은 독과점 형태로 뉴스를 통해 상당 부분 이익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포털의 승승장구로 인해 저널리즘의 후퇴, 포털의 권력화, 시장 왜곡, 뉴스 품질 악화 및 공공복리와 인격권 침해 등의 부작용이 발생했다. 포털 뉴스가 급성장하며 저널리즘이 후퇴했다. 정보제공, 환경 감시, 사회적 약자 및 집단 정체성의 보호 역할을 맡아 하던 언론의 상당 부분 책임이 포털로 넘어왔다. 소비자가 원하는 연성뉴스만 주로 생산하고 당연히 알아야 할 뉴스가 전달되지 않고 있다. 포털은 어젠다를 확대 축소할 수 있으며, 포털에 비판적이거나 정책에 맞지 않는 언론사는 구조적으로 차별하는 권력을 휘둘렀다. 많은 콘텐츠를 확보하길 원하는 포털과 유통망을 활용하여 기사 노출의 기회를 얻고자 하는 언론사들로 인해 뉴스 품질이 하락하는 결과가 초래했다. 정확하고 신속한 뉴스 대신 선정적인 자극적인 연애 뉴스가 늘었고, 베끼거나 낚시 뉴스가 유행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클러스터링 방식을 통해 동일 주제, 유사한 시간대의 뉴스를 하나로 묶었으며, 모니터링 제도를 시행했다. 외부 자문 위원을 구성하여 포털의 권력화와 편파성 비판에 대응했다.

 

출처: kbc
출처: kbc

 해외와 다르게 한국에서만 포털 뉴스가 막강한 영향력을 가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결과가 도출되기 전까지의 과정에서 많은 뉴스 기사를 얻길 원하는 포털과 유통망을 통해 기사를 노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언론사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뉴스 품질이 하락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포털과 언론사들이 각자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 것이 뉴스 품질 저하라는 사태로 이어졌다는 것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소비자들이 연성뉴스만 찾는 것이 미성숙한 시민의식과 불건전한 여론 형성에 기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포털의 탓이 아닌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라고 생각한다. 과거 신문은 지식인의 산물이었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읽었기에 그 타깃에 맞춰 경성 뉴스가 잘 만들어졌다. 지금도 뉴스의 핵심 타깃은 50대 남성인 전문직 종사자들이다. 이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뉴스를 통해 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은 이들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한다고 한다. 이 사실과 연성뉴스만 쫓는 소비자들의 이야기는 충돌하는데 어느 사실이 더 맞는 것인가?

 

 포털 뉴스를 통해 실제로 뉴스를 접하기 쉬워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포털 메인화면에 뜨는 뉴스를 소비자들은 중요하다고 인식한다. 포털의 의제를 설정한다는 것은 여전히 변하지 않은 사실이다. 새로고침 한 번에 수많은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포털 뉴스의 장단점과 더불어, 알 권리 보장, 정보제공, 환경 감시, 사회적 약자 및 집단 정체성의 보호에 포털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