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승-전-기레기

‘기레기’는 기자와 쓰레기가 합쳐진 신조어로 수준 이하의 기자를 멸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그들로부터 쓰인 진실 되지 못한 뉴스가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진짜는 누구나 알아보는 법. 진짜 기사를 알아보는 사람들은 꽤 많다. 이들에게 한 번 신뢰를 잃은 언론은 ‘기-승-전-기레기’라는 틀에 갇혀버렸고, 신뢰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 ⓒ민중의 소리

무차별적인 속도 경쟁이 문제가 아닐까? 언론사들은 ‘단독 보도’를 위해 속보에 집착하고 있다. 제대로 된 사실 확인과 명확한 정보가 없더라도 일단 기사를 쓰고 내보내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2014년 세월호 사건 당시 언론의 참사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물론 단독 보도는 중요하다. 하지만 단독 보도의 중요성은 더 이상 속보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언론은 제대로 된 사실 확인 후 명확한 정보를 통해 사람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런 환경이 조성되기 위해선 무조건 ‘먼저’ 보도한 기사가 아닌 구체적이고 확실한 기사들이 단독 보도가 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 ⓒ연합뉴스

다양해지고 있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기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획기사와 탐사보도와 같은 분야는 언론만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아무리 기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지만 취재와 보도 부분에서는 언론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 언론은 어떻게 사람들의 관심을 끌 것인가가 아닌 어떤 내용의 기사를 쓸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사람들이 원하는 진실 된 뉴스가 만들어질 때 언론은 신뢰를 회복하고 ‘기레기’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축구 기자가 되고 싶다. 그리고 나의 이런 말에는 여지없이 “기레기 돼서 돈 벌겠다는 거네?”라는 친구들의 장난이 빠지지 않는다. 나는 ‘기레기’라는 이름을 자초하지 않겠다. 내가 축구 기자가 된다면 그저 내가 쓴 글을 통해 한국 축구판을 옳은 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움직일 수 있길 바랄 뿐이다. 이런 작은 움직임이 계속된다면 ‘기-승-전-기레기’라는 틀을 깨부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