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나 기자가 아니어도 다양한 길이 있다.

▲ ⓒ커뮤니케이션북스

이번 단원의 제목처럼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한다고 해서 직업을 PD, 기자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각 문단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PD나 기자가 아니어도 인생만큼이나 다양한 길이 있다. 단 하나의 진로만 ‘정답’ 취급하지 않으면 훨씬 많은 선택자가 눈 앞에 펼쳐질 것이다. 그러려면 다양한 시야를 넓혀야 한다.

- 4대 매스미디어에서 유비쿼터스 시대로
인터넷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웹 기반 미디어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종이신문과 지상파방송 등 오프라인 미디어들이 온라인으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온라인으로만 뉴스 정보를 매개하는 인터넷 언론이 우후죽순처럼 등장했다.

- 늘어난 미디어, 늘어난 일자리
미디어 가짓수가 대폭 늘어난 만큼 일자리 자체가 크게 증가했다. 이쯤 되면 기자나 PD 직업이 소수 엘리트의 전유물이란 인식에서 벗어날 만도 하지 않을까. 심지어 미래학자들은 ‘몇 년 안에 없어질 직업’ 1순위로 기자를 꼽기도 한다.

- 추락하는 기성 언론의 입지
신규 미디어의 증가에 따라 기존 미디어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은 불가피한 형상이다. 이와 연동해 기성 언론 특히 신문에 대한 신뢰도까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기성 언론에서 일하는 기자와 PD에 대한 매력도 반감되는 추세이다.

- 광고·홍보 뜨고 직종마저 세분화되다
미디어가 양적으로 성장하다 보니 미디어 시장의 몸집도 커졌다. 이는 두 가지 연쇄효과를 유발했다. 미디어의 ‘밥줄’인 광고시장이 활성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 직종이 세분화되었다.

- 미디어 융합이 가치사슬을 바꾸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방송 통신 융합으로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거나 주목받지 않았던 직업군이 새롭게 창출 또는 부각되기 시작한 것이다. 과거에 미디어라고 하면 콘텐츠를 먼저 떠올렸고 PD와 기자는 그 핵심 직종이었지만, 미디어 융합으로 플랫폼, 즉 각종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 또는 근거지가 콘텐츠에 버금갈 정도로 중요해졌다.

- 언론학, 신문방송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미디어 환경이 양적으로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다변화되면서 언론학의 무게중심도 신문방송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동하고 있다. 언론학은 커뮤니케이션을 그 주된 대상으로 한다. 매스미디어 위주로 언론을 규정하는 현행 방식은 더 이상 시대에 부합하지 않게 되었다.

- 인문학과의 만남으로 가시권에 들어온 직업군
매스미디어가 아닌 커뮤니케이션을 사고의 중심에 둔다는 건 언론학의 속성이 사회과학에서 인문과학으로 이동함을 뜻한다. 인문학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인류가 남긴 족적을 조망함으로써 복잡하게 얽힌 현재를 쉽게 이해하고 미래를 내다보려고 한다. 미디어 환경이 전방위적으로 다변화되면서 언론학의 정체성도 재정립되었다. 그동안 간과했던 다양한 직업군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직업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 새로운 로망을 향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한다고 해서 직업 선택의 폭을 주류 미디어의 PD나 기자로 한정하지 말아야 한다. 자기가 좋아하는, 즉 열정을 갖고 몰입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행복해 보이기 위해 희생 당하는 삶이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 사는 인생이 될 수 있다.

- 내 가슴을 뛰게 하는 일을 찾아라
적성보다 성적을 중시하고 자신보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살도록 강요된 분위기를 벗어나야 한다. 전문가들은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 시시각각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라고 충고한다. 자기다운 걸 발견하는 사람은 결코 허황된 길을 가지 않고 자기 마음을 설레게 하는 일을 찾게 될 것이다.

- 인문학과 말하기·글쓰기로 기초체력을 다져라
어느 한 영역을 편식하기보다 다양한 분야를 두루 섭렵하는 것이다. 인문학은 이 점에서 제격이다. 인류가 오랜 세월에 걸쳐 천착한 문제를 성찰하다 보면 삶의 의미와 방편에 관한 단서를 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문성의 토양이 될 인문학적 소양을 쌓는 것은 물론 자의식도 일깨울 수 있을 것이다.

-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서양 속담처럼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것,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일찌감치 찾아 필요한 준비를 심도 있게 하는 것이 반드시 옳은 건 아니다. 숨겨진 재능을 뒤늦게 발견할 수 있고, 융합·통섭 시대에 한 우물만 파는 건 스스로를 전문 분야의 기능인으로 협소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 직종의 ‘교집합’의 영역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게 그 환경에서 유연성을 높일 것이다.
 

               ▲ ⓒNoun Project

커뮤니케이션하면 직업이 떠오르는 건 PD와 기자가 생각나는데 이 단원에서는 무수히 많은 관련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내용 중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문단은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이다. 이 문단에서 저자는 한 우물만 파지 말고 다양한 영역의 능력을 갖추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숨겨진 재능을 뒤늦게 찾을 수도 있다는 그 말이 나에게 깨우치게 해주었다. 내가 뭘 잘하며 무엇을 좋아하는지 정확하게 모른다. 그 재능을 위해 나는 다양하게 공부를 해야겠다는 다짐이 생겼다. 앞으로 한 우물을 파기보다는 다양하고 많은 우물들을 파헤쳐 봐야겠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