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고 쓰기에 대하여

출처 : 디스패치

 

어릴 때부터 공부를 지지리도 못했다. 수학 성적은 늘 심해에 대가리를 꾹꾹 처박기를 연속했고, 등쌀에 떠밀려 들어간 이과에서는 과학 성적이 또한 그러했다. 그 긴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간 무엇을 배웠느냐고 말한다면 “듣고 읽었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글쓰기와 말하기는 필요가 없었다. 시험과 시험성적으로 나열되는 학교에서는 잘 읽고, 잘 듣는 게 최고의 능력이었다.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첫걸음이었으니까. 오히려 학교에 다닐 때 떠들거나 질문을 했을 때 질타를 받았다. 사실 그 질문은 터무니없지 않았고 오히려 창의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들 이었지만 수업의 논외에서 벗어날 일이었기에 비난을 받았고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진 말하지 않고 쓰지 않으며 살았다. 내 안에 있는 생각과 감정들이 ‘나’인데 그것을 표현하는데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내 안에 있는 감정들과 생각들에 무감각해지는 것이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내 감정이 싫고, 부당하다고 느끼고, 좋다고 느껴도 표현하지 않았다.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불이익을 얻을까, 학교라는 사회의 분위기에 해를 줄까, 틀렸다고 질타받을 것 같기도 했고, 너무 튀는 사람이 되는 것 같아서도 그랬다. 나의 의견도 내 안에서 강압기로 눌러대며 깊은 바다로 내려보냈다. 사회가 정해놓은 노선에서 일탈하면 재기할 수 없었다는 조바심에 그랬었다. 이는 비단 나에게만 적용되는 것만은 아닐 것이라고 확신한다.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서 ‘나’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이러한 사회의 분위기가 40대 암발병률, 이혼율, 자살률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행복도 지수가 바닥을 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출처 : 한국경제

 

많은 현인들의 글과 대화 속에서 삶은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삶이라고 읽고 들어왔다. 그런데 고등학생 당시에 생각했을 때 학교에 소속되지 않은 ‘나’라는 그 자체로는 살아갈 수 없을 것 같았다.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인데 주체적인 내가 내 안에 없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나’라는 존재를 말하고 쓰면서 찾았다. 모든 사람에게 이를 강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이 가장 빠른 길이 아닐까 싶다. 대학교에 가서 좋은 학점을 받고, 기업에 가서 긴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체적인 글쓰기는 실질적으로 필요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100세 인생, 150까지 늘어날 수도 있는 삶의 길이에서 ‘나’라는 존재를 제쳐두고 산다는 것은 ‘학교’에서 벗어나 살아갈 수 없었을 것 같았던 필자의 경험의 연장선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긴 세월동안 살아가는 동안에 ‘나’를 드러내지 못한다는 것은 진정한 ‘나’로서 살아가지 못한 것은 아닐까.

 

지금부터라도 사소한 일상의 일들을 글로써 옮기고 그때 느꼈던 것들을 종이가 아니어도 좋으니 시도해보는 것은 어떨까. 긴 삶 속에서 읽기, 듣기라는 습득적인 행위만이 아닌 말하고 쓰는 공유적 행위는 삶을 더욱더 풍요롭게 만들어줄 것이고, 기존에 생각들을 깨부수는 도끼가 될 수도 있다. 인간은 자신을 드러내야 한다. 이는 조금 불편한 길일 수 있으나 ‘나’로서 존립할 때 비로소 내재적 행복을 느낄 수 있으며 그것이 진정으로 내가 된다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