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 작가의 『살인자의 기억법』, 영화가 되다.

▲ 네이버 영화

감독 / 원신연

출연 / 설경구(김병수), 김남길(민태주), 설현(은희)

장르 / 범죄, 스릴러

 

 

▲ 네이버 영화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김영하 작가의 소설을 각색해 탄생했다. 영화는 개봉 전부터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는데, 그도 그럴 것이 원작인 소설 자체가 베스트셀러로 등극할 만큼 많은 매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살인자의 독백과 일기로 구성된 독특한 문체, 짧은 문장들의 연속으로 높아진 가독성, 그 속에서도 눈에 띄는 블랙 유머, 모든 예상을 뛰어넘는 반전까지 이 모든 것들을 스크린에서는 어떻게 연출할지에 대한 궁금증이 모아졌다.

 영화는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연쇄 살인범에 대한 이야기다. 소재의 신선도에 이어 배우들의 연기력 역시 뛰어났으나 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속 한편에선 자꾸만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 네이버 영화

 

 영화의 가장 아쉬운 점은 마지막 결말이 소설의 것과는 전혀 달랐다는 것이다. 17년 전 발생한 교통사고로 인해 뇌에 손상을 입어 기억을 계속 잊어가는 주인공은 '블랙아웃' 동안의 자신을 믿지 못하고, 딸을 자신의 손으로 죽이게 될 수도 있다는 판단하에 모든 살인을 멈춘다. 잊혀가는 기억을 붙잡기 위해 일기와 보이스 리코더에 필사적으로 의지하지만 주변에선 자신이 했을 것인지도 모를 살인사건이 연달아 발생한다. 많은 의심과 살인자로서의 직감을 통해 드디어 딸 주위를 맴도는 남자를 범인으로 의심하게 되었으나, 그 기억조차도 언젠가는 잊는다. 딸을 지키기에 그는 기억을 보유할 수 있는 시간이 너무도 한정적이다. 바로 이쯤에서 소설과 영화의 내용은 정반대로 갈린다.

소설의 경우엔 결말에서 앞의 모든 이야기를 부정한다. 지금껏 우리는 대체 무엇 때문에 그리도 긴장했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하도록 이끌어낸다. 그러나 영화는 앞의 모든 내용을 사실로 만들어버린다. 영화는 소설의 많은 주제와 구성요소 중 '부성애'만을 직접적으로 비추고 강조한다. 물론 영화에서도 자잘한 '반전'의 요소를 심어둬 관객들의 충격을 유발하고자 했으나, 이미 원작을 접한 사람들의 시선에 그 정도 요소가 과연 만족스러울지는 아직 의문이다. '각색'을 거쳤다는 점에서 원작과의 차이는 어쩔 수 없는 일이겠으나, 원작의 결말에서 느꼈던 짜릿한 반전이 완벽히 사라지고 뻔한 결말로 직행하는 영화의 연출은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 네이버 영화

 

 또한, 자신이 범인이 아님을 입증하기 위해 자신의 일상을 되돌아보던 주인공의 기억이 사실인지 아니면 기억 소실 현상으로 인해 왜곡된 것인지 혼란스러워하는 장면의 연출은 전체적으로 많이 빈약했고 영화의 후반부에 등장하는 의미 없는 액션 장면은 너무 오래 스크린에 비쳤다. 오히려 앞선 주인공의 '혼란'에 포커스를 더 두었다면 조금 더 완성도 있는 작품이 나오지 않았을까? 게다가 영화는 책에선 나오지 않았던 범죄자의 과거 회상 장면까지 비췄다. 범죄의 원인을 불우한 어린 시절과 가정폭력에서 찾는 연출은 진부했으며 범죄자에게 면죄부를 부여하는 느낌이라 달갑지 않게 다가왔다. 소설과 영화 모두 스토리 자체는 굉장히 매력적이며 흡입력 있었으나 아쉬운 점이 많은 영화였다. 이미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은 베스트셀러를 재가공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깨닫게 되었다. 영화로만 이야기를 접해 본 이들이 책을 통해 다른 결말도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