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대개 PD나 기자를 꿈꾼다. PD나 기자를 원해 언론학과에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PD, 기자, 말고도 다양한 길이 있다. 단 하나의 진로만 ‘정답’ 취급하지 않으면 많은 선택지가 있을 것이다.

▲ 네이버 북스

4대 매스미디어에서 유비쿼터스 시대로

 4대 매스미디어 중심의 환경은 이제 과거의 유산이 되었다.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을 보라 이들이 제공하는 채널은 어마어마하다. 무엇보다 인터넷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웹 기반 미디어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예로 1인 미디어, 다양한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메타블로그, 블로그와 메신저가 결합한 마이크로블로그, SNS의 탄생으로 오늘날의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린 것이다.

늘어난 미디어, 늘어난 일자리

 미디어 가짓수가 많아지면서 일자리가 증가했다. YTN 같은 보도전문채널을 비롯해 티브로드 등 케이블 사업자, 각종 인터넷 방송사, 종합 편성 채널 등에 소속된 기자도 다수가 존재하며 PD도 독립제작사에서 일하는 PD가 많아졌다. 미디어 개체 수가 많아지면서 기성 언론의 영향력이 이전만 못 하게 되었다.

추락하는 기성언론의 입지

 신규 미디어의 증가에 따라 기존 미디어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그런데 이와 연동해 기성 언론, 특히 신문에 대한 신뢰도까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자연스럽게 기성언론에서 일하는 기자와 PD에 대한 매력도 반감되는 추세이다.

광고홍보 뜨고 직종마저 세분화되다

 미디어가 양적으로 성장하다 보니 광고시장이 활성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 직종이 세분화됬다. ‘마케팅 리서치’는 예전부터 있던 직종이지만 역할이 커지고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관심이 커졌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글로벌 대안광고 마케터’가 나타났다. PR도 떠오르면서 홍보대행사, 홍보컨설팅 등 활기를 띠었다.

▲ 더 피알

미디어 융합이 가치사슬을 바꾸고 있다

 미디어 환경 변화는 더 많은 수의 미디어 등장을 의미함과 동시에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방송통신 융합으로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거나 주목받지 않았던 직업군이 창출 또는 부각을 보여준다.

언론학, 신문방송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 특히 질적 다변화는 신문방송이 중심이었던 언론학의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작용했다. 즉 일방향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양방향 다차원 커뮤니케이션으로 진화했고 매스미디어 위주로 언론을 규정하는 행동 방식은 더 이상 시대에 부합하지 않게 되었다.

인문학과의 만남으로 가시권에 들어온 직업군

 언론학의 무게중심이 커뮤니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으로 이동하고 때마침 소셜미디어 시대를 맞아 소통의 가치가 중시되면서 직업의 스펙트럼이 확장되었다. 프레젠테이션 컨설턴트, 강연 디렉터, 디지털 스토리텔러, 디지털 지식 네트워커 등의 신흥 직종이 나타났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