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이란 과연 무엇일까?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학문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드는 의문이다. 그 렇다면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사명은 어떤것이 있을까? 본 책에서 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출처:지식백과

저자는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인지 떠올리기 위하여 플라톤의 '고르기아스'와 부르디외의 '말라기의 의미'라는 책을 꺼내었다. 플라톤의 '고르기아스'는 주로 변론술과 영혼에 관한 논의가 다루어졌으며, 소크라테스가 어떤이들과 주제를 놓고 대화를 나누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대화편 중 칼리클레스는 전제군주의 권력을 부러워 하며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힘이 최고의 선이라 생각하였다. 하지만 스스로 소크라테스와의 대화를 선택함으로서 문답과정 중 자신의 의견에 허점이 있음을 알아차렸다. 여기서 저자는 프랑수아 샤틀레의 '플라톤'을 소개하며 중요한 메시지를 정리해준다.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은 타자와 힘과 폭력이 아닌 말과 대화를 선택했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전제하는 것이고, 개인적인 의견의 한계를 의식하고 인정한다는 것이다. 

 부르디외의 '말하기의 의미(부제: 언어교환의 경제)' 는 언어활동이 상징권력으로 일종의 폭력임을 주장하며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1995년 프랑스 우파 정부가 국가 재정의 합리화를 명분으로 공기업의 구조조정과 연금 제도의 개혁에 나섰다. 지식인들과 노동자들 간에 대립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사실상 전문적이고 풍부한 언어를 구사하는 지식인들과 감정적이고 과격한 언어를 구사하는 노동자들은 서로 가진 언어자원이 다르기 때문에 대화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 이에 말하기란 개인의 언어자원을 활용해 각자의 이윤을 얻는 행위라 정리하였다. 

위의 두 책에서 플라톤과 부르디외가 주장한 것을 보면 커뮤니케이션은 양면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군가와 '말'을 한다는 것은 설득 뿐만 아니라 폭력으로 다가갈 수도 있음을 항상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발생하는 모든 불평을 의문시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해 타자와의 연대, 협력하며 함께 나아가는 말의 힘을 믿고, 그러한 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렇다면 위의 내용들이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의 사명의 끝인가? 이에 더불어 저자는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방향과 목적에 관해 고민하고 탐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은 타자와 소통하면서 서로 의견을 공유하고 의논하며 문제에 대한 합의점을 찾거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다. 또한 위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으로 설득,소통이 가능하지만 누군가에게는 폭력으로 상처를 입힐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사명을 가지고 앞으로 이 학문에 대해 공부해야 겠다는 마음가짐을 다시 한 번 다잡게 되었다. 

 
저작권자 © MC (엠씨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